Exhibition
2023 RELEASE COLLECT VOL.1
김진휘 개인전 │무경계
- 기 간: 2023. 3. 8. (수) - 4. 5. (수)
- 장 소: project space Release
김진휘 작가의 작품은 상반되는 개념의 교집합에서 시작된 끊임없는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울을 들여다보는 나’와 ‘거울 속의 나’처럼 양쪽의 것들, 그리고 양쪽을 나누는 경계를 동시에 말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작품은 어떤 특정한 내용을 지니고 있지 않다. 불안정한 감각 속에서 작품과 공간과 관람자가 끊임없이 관계하며 각자의, 서로의 개념을 생성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경계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경계를 인식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작가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그 경계 위에 서서 공간을 바라본다.
작품을 보고자 할 때 우리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오는 것은 공간을 장악한 작은 물체들이다. 이 물체들은 점의 형태를 띠기도 하고, 쭉 뻗어나가는 선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이 물체들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완벽한 정사각형인 줄 알았던 것이 측면에서 봤을 때 사다리꼴로 변하는 것처럼,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모양과 그들 간의 거리를 달리한다. 이렇게 시선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물체의 운동성, 이 변화의 원인이 되는 관찰자-물체의 연결성을 ‘관계’라고 칭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기적인 관계에서 오는 개념 생성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자리하고 있다. 이는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 고착화되기를 지양하고 있으며, 형태 안의 존재들은 다시금 새로운 잠재성을 가지고 돌아온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경계를 인식하고, 이 공간에 발을 들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지속적인 재조합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작가의 시선과 구조는 관람자에게 다양한 방향의 시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불안정하고 고착화되지 않은 상태를 가진 작품들을 볼 때, 그리고 그 상태를 전제로 ‘경계’라는 개념을 바라볼 때,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관람 시점이 있다. 먼저, 철저한 관람자-작품의 관계를 유지하며 바라본다. 이때는 관람자가 주체, 작품이 객체(대상)로서 그 둘은 완전히 분리된 존재이자 확실한 경계선 가지게 된다. 두 번째로 공간에 들어서면서 객체들과 동화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살펴봤던 관람자와 작품 간의 주-객 관계를 넘어서 관람자 역시 작품의 일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공간 내의 모든 것이 객체이자 대상이 된다. 여기서 우리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많은 관계에 함께 내포되어 작품 내 요소들과 한 집단이 되기도 하고, 타 집단과의 경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내가 객체가 되어 작품과 관계 맺는 그 순간을 이탈하여 조망할 수 있다. 제삼자의 입장에서 내려다보는 그들의 모습에는 경계가 흐려질 것이며 심지어는 그 모든 것이 하나의 집단으로 묶여 보이기도 할 것이다. 결국 바라보고자 하는 시점과 이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경계’의 위치는 유동적으로 바뀌고, 흐려지며 지워진다.
위의 예시 외에도 작품을 바라보는 시점은 무한하며 정의가 가능하지 않다. 그렇기에 낯설고 새로운 것에서 파생되거나 생성되어 오는 '새로운 것'이 개개인의 사유를 확장, 새로운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렇듯 여러 시선에서 바라본 김진휘 작가의 ‘무경계’는 안정감과 소속에 대해 지양하며 여기저기 얽히고 퍼져나간다. 그 속의 점, 선, 면 등의 모든 요소가 서로를 통해 확장되고 달려 나가며 구조를 넘나든다. 이러한 요소들이 전시 공간과 만나면서 판타지적 요소로 증폭되는 것 볼 수 있다. 공간 내부의 계단, 구석진 곳 등 매끄럽지 못하다는 시각적 특징과 잘 어우러질뿐더러 능동적으로 찾아내어 지하로 내려가야 한다는 위치적 특성과 합쳐져 전시장의 문을 여는 순간 마치 어딘가에 숨겨진 차원처럼 느껴질 듯하다. 공간의 에너지와 함께 읽힌 작품은 알 수 없는 확장됨과 구조로 하여금 관람하는 이에게 나름의 모함과도 같은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E-mail . projectspace.release@gmail.com Instagram . release_projectspace
E-mail . projectspace.release@gmail.com
Instagram . release_projectspace